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
서울세계무용축제(SIDance, 시댄스)는 1998년 제13차 국제무용협회 세계총회 서울 유치를 계기로 탄생하여 무용계 국제교류의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
창작가들에게 새로운 창조적 자극과 넓은 시야를 제공하고, 관객들에게는 그간 접하기 어려웠던 색다른 공연을 소개해오며 국내 최대 규모, 최고
수준의 정격(正格)
국제무용 페스티벌로서 그 위상을 공고히 하였다. 2018년부터 난민, 폭력 등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특집을 기획함으로써, 예술의 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예술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국제공동제작 및
협력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는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합작 프로젝트나 외국 유명 무용단과의 공동작업을 확대, 한국의 무용인과 무대기술 인력에게
국제감각을 불어넣는
등 공연예술 분야의 다양한 인적 자원 육성을 통한 문화 인프라 구축을 도모하고 있다. 무용을 통한 국제 네트워킹과 합작 노하우의 축적을 통해
한국 무용의 세계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한국춤의 국제무대 진출방법의 다양화 가능성을 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도 |
공동제작 및 협력 |
내용 |
1999년 |
한국-프랑스 합작 |
한국 예술가 한영원, 프랑스 무용가 조르주 몸보이, 미디어아티스트 미셀 코스트 및 프랑스 스태프들 참여 |
2001년 |
한국-독일 합작 |
독일 안무가 미샤 푸루커 및 바디 하우스 댄스 에너지 & 한국 LDP무용단
|
타이완-홍콩-호주-일본-한국 리틀아시아 댄스 익스체인지 네트워크 |
각국 솔로 아티스트 개인 레퍼토리; 아시아 5개국 순회 |
|
2002년 |
한일 월드컵 공동주최기념 한-일 합작 1 |
오디션을 거쳐 선발한 예효승, 오만석이 출연한 파파 타라후마라와의 공동제작. 한국 작곡가 및 비디오아티스트 참여.
서울공연예술제의 해외 초청작으로
소개. 서울, 부산, 도쿄, 츠쿠바 등 순회. 일본 재연 시 한국 출연자 재 파견
|
한일 월드컵 공동주최기념 한-일 합작 2 |
이토김 & 안성수 공동안무
|
|
타이완-홍콩-호주-일본-한국 리틀아시아 댄스 익스체인지 네트워크 |
각국 솔로 아티스트 개인 레퍼토리; 아시아 5개국 순회 |
|
2003년 |
하멜 표착 350년 기념 한-네덜란드 합동공연 |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무용단체인 <인트로단스 청소년 앙상블>과 한국의 김선희 발레단, 예원학교 발레단이 참여하여 합동공연 |
한국-캐나다 수교 40주년 기념 합작 |
안애순 안무 & 몬트리올 댄스 출연, 도미니끄 뽀르뜨안무 & LDP 출연, 2개 작품을 만들어 10월 SIDance 공연 다음해 2월 캐나다 빅뱅프로그램 공연 |
|
한국-일본-미국 여성안무가 합작 |
미국 안무가 몰리사 펜리 안무 및 양국 대표적인 중견 이상 여성 안무가가 출연한 3국 합작. 한국, 일본 공연 |
|
타이완-홍콩-호주-일본-한국 리틀아시아 댄스 익스체인지 네트워크 |
각국 솔로 아티스트 개인 레퍼토리; 아시아 5개국 순회 |
|
2004년 |
싱가포르 아트 페스티벌
|
싱가포르 아트 피션 무용단 & 한국 안무가 박호빈과 남성무용수들. 2004년 10월 한국(서울세계무용축제), 2005년 6월 싱가포르(싱가포르 아트 페스티벌) 공연 |
타이완-홍콩-호주-일본-한국 리틀아시아 댄스 익스체인지 네트워크 |
대만 레지던스 및 공동안무작 제작; 아시아 5개국 순회 |
|
2005년 |
멕시코 세르반티노 축제
|
루르데스 루나+LDP & 전미숙+ 유카탄 주립무용단 2개 신작 양 축제 공연 및 양국 지방순회공연.
|
일본 댄스셀렉션 & 서울세계무용축제 공동제작 |
콘도 료헤이-홍혜전 공동안무 양국 남성무용수 출연.
|
|
한일 우정의 해 춤 교류전 한-일 합작; |
안무가 김영희 & 야마자키 고타 안무, 양국 무용수 출연 한국과 일본에서 공연 |
|
박순호 & 기가 히즈메 공동제작 |
시댄스와 협력 진행한 PAMS LIP를 통해 내용을 공유한 양국 안무가들이 작품을 제작해 DIDance 2005 공연. 2007년 스페인 Festival Asia 초청으로 개막공연 |
|
싱가포르-일본-타이완-홍콩-한국 리틀아시아 댄스 익스체인지 네트워크 |
각국 솔로 아티스트 개인 레퍼토리; 아시아 5개국 순회 |
|
2006년 |
프랑스 몽뻴리에 무용축제
|
한·불 수교 120주년 기념 재불 한국인 안무가 남영호 안무 양국 무용수 출연; 몽뻴리에 초연 및 10월 시댄스 공연 |
싱가포르 아트 페스티벌
|
한국안무가 김은희 파견 & 싱가포르 댄스 시어터 무용수 출연. 6월 싱가포르 아트 페스티벌 초연 및 시댄스 재연 |
|
2007년 |
중남미-아시아 댄스 익스체인지 |
6개월 서울 레지던스 및 공동안무작 제작. 시댄스 공연 후 AAPAF 협력으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홍콩, 상하이 공연 |
2008년 |
뉴욕 DTW
|
미국 영상아티스트 겸 안무가 딘 모스 & 한국 안무가 김윤진 공동안무, 한국 여자 무용수 출연. 양국 레지던스 및
제작. 시댄스 초연,
홍콩 뉴 비전 아트페스티벌 파견. 2009년 뉴욕 DTW 공연
|
아시아-아프리카 댄스 익스체인지 |
6개월 서울체류를 바탕으로 공동작품 제작해 시댄스 공연. 한국 쪽 안무가로 참여했던 박순호가 다음 해 아프리카 무용수 중 1명을 국내 레지던스에 초청 |
|
2009년 |
아시아-아프리카 댄스 익스체인지 |
6개월 서울체류를 바탕으로 공동작품 제작해 시댄스 공연. 참가했던 아프리카 무용수들 자국에서 한국어 강사로 활동 |
2010년 |
파파 타라후마라 & LIG아트홀
|
파파 타라후마라 안무가 고이케 히로시 안무, 양국 무용수 출연, 한국 작곡가 최우정 음악. 양국 레지던스 제작 및 양국 순회공연 |
아시아-아프리카-남미
|
6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한국 내 복합장르 음악극 출연. |
|
2011년 |
아시아-아프리카 댄스 익스체인지 |
6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한국-인도 공동제작 |
인도 아따깔라리 움직임연구소와 댄스시어터 까두 양국 공동 레지던스 및 공동제작, 양국 순회공연 |
|
한국-일본 공동작업 |
신은주 무용단과 일본 스미 마사유키 공동작업 및 부산, 시댄스 공연 |
|
2012년 |
아시아-아프리카-동유럽
|
6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한국-핀란드 공동제작 |
안성수 픽업그룹 & WHS 합작 , 시댄스 국내 초연
|
|
한국-일본 공동작업 |
오노 요시토 안무, 미연&박재천 음악 |
|
2013년 |
아시아-아프리카-동유럽 댄스 익스체인지 |
3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2014년 |
아프리카-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
5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2015년 |
아시아-아프리카 댄스 익스체인지 |
5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2016년 |
남미-아프리카 댄스 익스체인지 2016 |
5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2017년 |
아시아-아프리카-남미 댄스익스체인지 2017 |
5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영국 특집 UK Focus
|
Far From The Norm (Botis Seva)과 오디션을 통해 선발한 한국무용수들의 합작 공연 |
|
독일-한국 공동작업 |
임지애, 시댄스 국내 초연 |
|
2018년 |
아시아-아프리카-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2018 |
5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프랑스-한국 공동작업 |
프랑스 안무가 헤수스 이달고와 한국 안무가 최은희 공동작업 및 시댄스 공연 |
|
2019년 |
아시아-아프리카-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2019 |
5개월 서울 레지던스, 공동안무작 시댄스 공연 |
덴마크-한국 공동작업 |
덴마크 안무가 킷 존슨과 한국 안무가 박나훈 공동작업 및 시댄스 공연 |
|
덴마크 그룹 투위민머신쇼(Two-women-machine-show), 덴마크 작가/퍼포머 조나단 보니치, 그리고 한국 무용가 김유진 공동작업 및 시댄스 공연 |
||
한국 이정인 안무가가 게스트 안무가로 참여, 덴마크 Black Box Theatre 소속 무용단 Black Box Dance Company와 한국 안무가 이정인 공동작업 및 시댄스 공연 |
||
2020년 |
독일-한국 공동작업 |
독일 무용단 MOUVOIR와 시댄스가 공동제작한 댄스필름 <섬의 몸들> SIDance ONLine에서 세계 초연 |
2021년 |
한국-싱가포르 비대면 공동창작 |
싱가포르 con•tact Contemporary Dance Festival과 공동기획, 한국 권혁과 싱가포르 아델 고의 비대면 공동창작 <A Time Within Time, 공존> 추진 및 시댄스 상영 |
2021년-2022년 |
독일-한국 공동작업 |
무용단 MOUVOIR와 시댄스가 공동제작 <Hello to Emptiness>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
2022 | 한-남아시아 현대무용 온라인 플랫폼 Stre@m 제작 론칭 | 한국과 아시아의 수십편의 작품 업로드 및 운영 |
독일-한국 공동작업 | 한-독(Bodytalk) 공동제작을 위한 한국무용수 오디션 진행 | |
ACC 한-독 공동 창·제작 공연 <공허와의 만남> | ||
독일무용단 MOUVOIR 합작품 프랑스 님 레지던시 및 공연 | ||
제4회 동아시아무용플랫폼(HOTPOT) | 제4회 동아시아무용플랫폼(HOTPOT) 주관 | |
서울공연예술마켓(PAMS) | 서울공연예술마켓(PAMS) 팸스시즌 공동주관 파트너 | |
문화동반자(CPI) | 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FICE) 주최 문화동반자(CPI) 사업대행자 선정, 운영 |
국제 콩쿠르, 안무대회 참가,
심사위원 및 참가자
지원
국제 콩쿠르 및 안무대회 정보의 국내 소개 해외 정보가 취약한 국내 무용계에 국제 콩쿠르 정보 확산
국제 콩쿠르 및 안무대회에 한국인 심사위원 진출 로잔 콩쿠르, 푸에떼 국제발레콩쿠르, 바르나 국제발레콩쿠르 등 세계 유수 콩쿠르에 한국
심사위원 진출
국제 콩쿠르 및 안무대회에 참가하는 한국인 참가자에 대한 지원
연도 |
내용 |
1997년 |
로잔 콩쿠르 한국 대표 피촉
|
1998년 |
제4회 러시아 바가노바 발레콩쿠르: 심사위원 파견
|
1999년 |
제5회 일본 키타큐슈 全아시아 무용콩쿠르: 심사위원 및 참가자 파견(참가자 다수 입상)
|
2000년 |
제1회 푸에떼 국제발레콩쿠르: 심사위원 파견
|
2001년 |
프라하 국제발레콩쿠르 한국대표 위촉
|
2003년 |
제31회 로잔 콩쿠르: 참가(2명 입상) |
2004년 |
제 32회 로잔 콩쿠르: 참가(3명 입상) |
2005년 |
제 33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06년 |
제 34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07년 |
제 35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08년 |
제 36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09년 |
제 37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10년 |
제 38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11년 |
제 39회 로잔 콩쿠르: 참가 |
2013년 |
프랑스 파리 국제안무가대회: 초청참관
|
2016년 |
폴란드/바르샤바 제2회 자비로바냐 국제안무대회 심사위원 위촉참석 |
2019년 |
이탈리아/파도바 제 10회 프로스페티바 안무경연대회 심사위원 |
2020년 |
네덜란드/헤이그 및 8개 도시 홀랜드 댄스 페스티벌 초청참관 |
국제 아트마켓, 국제 페스티벌,
심포지엄 참가 /
국제기구 활동
국제 아트마켓, 페스티벌, 심포지엄 초청 및 참가를 통해 국제무용계의 흐름을 국내에 소개하고 국제 무용계와의 네트워크 형성.
국제 아트마켓, 페스티벌, 심포지엄 참가하여 국제협력, 공동제작, 한국 무용 해외 진출 홍보
예술분야 국제기구 활동을 통한 우리 무용 국제적 위상 확대
연도 |
내용 |
1996년 |
CID-UNESCO 세계본부로부터 한국본부 개설 동의서 수령 |
1997년 |
유네스코 주최 <예술가와 사회>에 관한 세계대회: 참석 |
1998년 |
IOTPD(국제무용가직업전환기구) 이사회 및 심포지엄: 참가
|
1999년 |
프랑스 예술진흥협회(AFAA): 방문, 한불 무용교류 방안 논의
|
2000년 |
제1회 Asia-Euro Dance Networking Forum: 참가
|
2001년 |
제1회 오사카 현대무용페스티벌: 참가
|
2002년 |
프랑스 예술진흥협회(AFAA : 초청 프랑스 여름무용축제 참관
|
2003년 |
제1회 일본 히로시마 평화예술제: 참가 및 후원
|
2004년 |
호주 애들레이드 공연예술마켓(Australian Performing Arts Market): 초청 참관
|
2005년 |
쿠바 제4회 ‘문화와 발전에 관한 국제 콘퍼런스’: 패널리스트 참가
|
2006년 |
영국 British Dance Edition 2006: 초청 참관
|
2007년 |
아시아공연예술축제연맹(AAPAF): 정기총회 참가
|
2008년 |
시드니 페스티벌: 초청 참관
|
2009년 |
아시아공연예술축제연맹: 집행이사회 참석
|
2010년 |
APAM(Australian Performing Arts Market) 및 프린지 페스티벌: 초청참관
|
2011년 |
아따깔라리 인디아 비엔날레: 강사초빙 및 축제초청
|
2012년 |
British Dance Edition: 초청참관
|
2013년 |
네던란드 암스테르담 카단스 축제: 초청참관
|
2014년 |
호주공연예술마켓(Australian Performing Arts Market, APAM): 초청 참관
|
2015년 |
요코하마 댄스 컬렉션: 초청참관
|
2016년 |
노르웨이/오슬로 잉군 비외른스고르 <Golden Fleece> 초연 초청참관
|
2017년 |
네덜란드/암스테르담, 로테르담 NDT(Nederland Dans Theater), 스카피노 발레단, Club
Guy&Roni, Ulike
Quade 4개 공연단 초청관람
|
2018년 |
프랑스/파리 샤이오극장 북유럽무용축제(Festival Nordic) 초청참관
|
2019년 |
일본/후쿠오카 댄스 프린지 페스티벌 초청참관
|
2022년 |
4월 : 에어로웨이브즈 스프링포워드 축제 초청참관(그리스 엘레프시나) |
한국무용의 해외진출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는 한국무용의 국제무대 진출을 위한 창구로서 세계 각국 주요 극장과 페스티벌, 아트마켓, 예술감독, 기획자들과
네트워킹을 가지며 한국무용과
한국 무용인력의 해외진출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996년 설립 이후 유럽 (프랑스, 스페인, 독일 등) ,
북미
(미국,캐나다, 멕시코), 중남미 (쿠바, 브라질, 콜롬비아 등), 아시아 (중국, 일본, 인도,
싱가포르 등),
아프리카 (콩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전세계 36개국에 175개의 우리 무용단 및 무용가를 진출시켰다.
외국 무용단 취업 지원
외국 무용단 오디션에 한국 무용수 파견 및 해외 진출을 위한 정보 확산
해외 네트워킹을 활용한 한국 무용수 취업의 실질적 지원
국제 페스티벌, 외국 아트마켓 등 국제행사에 한국무용 진출 및 한국 무용단 파견.
1997년 |
제9회 일본 사이타마 국제창작 무용 경연대회 : 황미숙 무용단 파견(장려상 수상)
|
1998년 |
제4회 러시아 바가노바 발레콩쿠르 : 심사위원 파견
|
1999년 |
제5회 일본 키타큐슈 全아시아 무용콩쿠르 : 참가자 파견(참가자 다수 입상)
|
2000년 |
프랑스 리옹 댄스 비엔날레 : 홍승엽 댄스 시어터 온 참가작 공동제작
|
2001년 |
일본 파파 타라후마라 기획공연 : 무용수 최진한 출연자로 파견 |
2002년 |
일본 오사카 댄스 복스 주최 아시아 현대무용제 : 안은미, 전미숙 파견 |
2003년 |
일본 파파 타라후마라 공연 : 예효승, 오만석 파견
|
2004년 |
일본 오사카 공연예술마켓(PAMO 2004) : 한국 참가자 파견
|
2005년 |
싱가포르 아트마켓 : 국악 퓨전그룹 ‘그림’ 파견
|
2006년 |
프랑스 르와요몽 재단 공자춤 강습 : 안무가 임학선 파견
|
2007년 |
스페인 페스티벌 아시아 : 박순호 댄스 프로젝트 파견
|
2008년 |
콩고 브라자빌 마키누 반투축제 : 이경은 LEE K. Dance 파견
|
2009년 |
한중 우호행사 : 이인수 댄스 프로젝트 파견
|
2010년 |
일본 오사카 제1회 아시아 현대무용축제 : 류석훈, 이선아 파견
|
2011년 |
스페인 마스단사 : 이인수 EDx2 무용단 라스 팔마스 및 떼네리페 공연 및 워크숍 파견
|
2012년 |
폴란드 자비로바냐 댄스시어터 페스티벌 : 이태상댄스프로젝트 파견
|
2013년 |
인도 아따깔라리 비엔날레 FACETS 안무 레지던시: 나연우 파견
|
2014년 |
이탈리아 제12회 피렌체한국영화제: 신은주무용단 파견
|
2015년 |
네덜란드 카댄스페스티벌 CaDance 2015: 안수영컴퍼니 파견
|
2016년 |
프랑스/툴루즈 메이드인아시아축제 김설진/시나브로가슴에 추천파견 및 투어진행
|
2017년 |
미국/뉴욕 17th Contemporary Dance Showcase: Japan + Asia 제이제이브로 추천파견
|
2018년 |
불가리아/소피아 에어로웨이브즈 스프링포워드 고블린파티 추천파견 및 투어진행
|
2019년 |
인도/아따깔라리 움직임 연구소 레지던시 프로그램 박소정, 한상률 추천파견
|
2020년 |
네덜란드/헤이그, 도르드레흐트, 케르크라더, 바헤닝언, 네이메헌, 아메르스포르트, 레이우바르던, 데벤테르, 아센 홀랜드 댄스
페스티벌 전미숙무용단
추천파견 및 투어진행 |
2021년 |
후즈넥스트 공연영상 전세계 무용기획자 대상 방영/해설 |
2022년 |
에어로웨이브즈 스프링포워드 큐댄스컴퍼니 추천 및 투어진행(엘레프시나) |
세계무용계 동향의 국내소개와
새로운 조류 반영을 통한
공연제작
국제무용협회 한국본부는 무용사적 비중과 명성을 지닌 세계 정상급 무용단체의 국내 초청뿐만이 아니라 국내에는 미처 소개되지 않은 세계
무용계의 최신조류와 세계
공연예술계의 흐름을 읽는 작품과 경향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소개해오고 있다.
∙독일 탄츠테아터 소개 1998년 수잔 링케 초청공연/탄츠테아터 비디오상영/ 강연회
∙무용과 신기술의 만남 2002년 스위스 벤투라 무용단 초청공연 및 테크놀로지 댄스 강연회
∙영국 무용 전반 소개 2004년 영국문화원과 함께 영국 무용 전반을 국내에 소개하는 행사 진행 Forward Motion 2004
<영국무용
백년사> 비디오 렉처 및 상영회, 영국 무용유학 설명회
∙일본 부토의 집중 탐구 및 소개 2005년 부토의 정통 계보를 잇는 다이라쿠다칸, 카사이 아키라, 무로부시 코에서 현대부토에 이르는
부토의 역사적 고찰
및 집중탐구 강연회와 한·일 양국 현대무용 안무가 교류
복합장르, 새로운 조류 반영을
통한 공연제작과 무용문화
담론형성
디지털 댄스 페스티벌 2003년 시작해 비정기적으로 진행되는 축제. 무용과 최첨단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공연 그리고 영상예술을 매개로 더욱
확장된 무용영상
컨텐츠를 개발해 대중에 대한 무용의 접촉면을 넓히기 위한 축제이다. 영상분야 및 컴퓨터와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내는 예술가를
무용창작자로 개발하기
위한 장을 마련해주고 있다. 매년 세계적인 무용영상 축제의 수작을 소개하고, 국내 영상아티스트 및 무용가의 공동작업과 이를 통해 만들어지는
컨텐츠 소개 및 외국 행사
진출, 그리고 아티스트간의 교류를 위한 다양한 포럼 및 세미나 등을 동시에 개최하고 있다.
∙공연저널리즘 서울포럼 국제 무용계의 여론을 주도하는 저명 저널리스트들을 통해 한국 무용을 진단하고 국제무대에 그 존재를 알리기 위해
2008년 시작한
공연저널리즘 서울포럼은 무용분야에만 국한하지 않고 한국 문화를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동시에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향후
공연예술 국제유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세계무용축제
SIDance
∙춤추는 도시
결코 편하지 않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춤’이 동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 일상의 생활인들에게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문화’로 인식되고
잠시의 휴식 같은 공연을
통해 일상의 공간이 달라지고 도시 환경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7년 시작한 프로그램. 그간 무용가들은 과감히 무대를 벗어남으로써
‘관객과 친해지는
방법’을 찾았다. 올 6월~7월에는 스페인의 대표적인 거리무용축제를 순회하면서 한국 현대무용이 놀라운 수준이라는 것을 입증하기도 했다.
2010년을 계기로
서울세계무용축제는 ‘춤추는 도시’를 통해 사회 속 ‘춤 문화 운동’에 보다 박차를 가하고 국제무대와의 교류도 더욱 긴밀하게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커뮤니티 댄스(Community Dance)
공통의 사회적 정체성에 기반을 둔 다양한 사람들이 춤을 통해 삶의 즐거움, 관계회복, 치유, 치료 등의 효과를 얻는 춤 활동으로 몸과
움직임을 통해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모두 포괄한다. 2011년 4월 <엄마와 딸> 워크숍을 비롯, 2011년 10월 10대 청소년들이 함께 하는
<청소년
감성프로젝트 상상학교>를 통해 춤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세계 춤의 날
1982년 근대 발레 체계의 확립자인 장-조르주 노베르(Jean-Georges Noverre, 1727-1810)의 생일인 4월
29일을 기념해
국제무용협회(CID-UNESCO) 세계본부와 국제극예술협의회(ITI), 유네스코(UNESCO)가 제정한 날로, 매년 세계 각국에서는 이 날을
맞아 춤과 관련된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지고 있다. 2011년 국제무용협회(CID-UNESCO)한국본부, 세계무용연맹(WDA)한국본부 등 여러 무용 단체들이 대중춤,
예술춤, 시민춤의 벽을
허물고, 프로든 아마추어든 ‘누구나 춤 출 권리가 있다’는 기치 아래 서울을 시작으로 인천, 광주, 부산 등 전국의 주요 도시에서 기념 공연 및
축하 행사를 진행
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기념행사를 진행 예정이다.
∙힙합의 진화
2007년부터 현대무용의 새로운 동향을 반영하는 동시에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지닐 수 있는 한국 춤의 새로운 언어를 개발하기 위해
힙합과 현대무용의
조화로운 결합을 도모하는 <힙합의 진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실제로 외국파견 성과를 갖고 오기도 했고, 무용관객의 저변확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